2020년 7월 28일 화요일

윈도우 한영 전환 레지스트리 모음

101Key_Type3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i8042prt\Parameters]
"LayerDriver KOR"="KBD101C.DLL"
"OverrideKeyboardIdentifier"="PCAT_101CKEY"
"OverrideKeyboardType"=dword:00000008
"OverrideKeyboardSubtype"=dword:00000005
"LayerDriver JPN"="kbd101.dll"


Shift + Space 전환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i8042prt\Parameters]
"PollingIterations"=dword:00002ee0
"PollingIterationsMaximum"=dword:00002ee0
"ResendIterations"=dword:00000003
"LayerDriver JPN"="kbd101.dll"
"LayerDriver KOR"="kbd101c.dll"
"OverrideKeyboardType"=dword:00000008
"OverrideKeyboardSubtype"=dword:00000005
"OverrideKeyboardIdentifier"="kbd101c.dll"
"KeyboardFailedReset"=dword:00000000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Keyboard Layout]
"Scancode Map"=hex:00,00,00,00,\
                   00,00,00,00,\ 
                   03,00,00,00,\
                   72,00,38,E0,\ 
                   71,00,1D,E0,\
                   00,00,00,00


2020년 4월 13일 월요일

rclone systemd 방식으로 마운트


https://forum.rclone.org/t/rclone-auto-mount/6353/14 에서 참고 했습니다.

# vi /etc/systemd/system/rclonemount.service

[Unit]
Description=RClone Service
After=network-online.target
Wants=network-online.target


[Service]
Type=notify
ExecStart=/usr/bin/rclone mount --allow-other --vfs-read-chunk-size 16M --buffer-size 2G onedrive: /mnt/onedrive
ExecStop=/bin/fusermount -uz /mnt/onedrive
Restart=on-abort
User=users
Group=users

[Install]
WantedBy=default.target


# systemctl daemon-reload
# systemctl enable rclonemount
# systemctl start rclonemount

2020년 4월 4일 토요일

vmware guest 에서 ubuntu / debian 계열 사운드 소리가 작을때

vmware guest 에서 ubuntu / debian 계열 사운드 소리가 작을때

vmware 에서 내장사운드로 Ensoniq AudioPCI  계열로 잡히는데 소리가 매우 작습니다.
Windows 계열은 정상적으로 소리가 나네요

AlsaMixer 를 이용해서 PCM 부분 볼륨을 방향키로 이동해서 높혀주면됩니다.
나올때는 ESC 키 입니다.

명령어는 alsamixer 입니다.


2020년 3월 15일 일요일

ubuntu 데스크탑을 Windows 원격 데스크톱 으로 접속하기

sudo apt install xrdp

그렇지만 Windows 원격 데스크톱으로 로그온 하면
"색상 프로파일을 만들려면 인증이 필요합니다"
메시지가 무한 반복된다.


아래와 같이 권한을 넣어준후 xrdp 데몬 재시작 하면 해결됨

vi /etc/polkit-1/localauthority/50-local.d/45-allow-colord.pkla
[Allow Colord all Users]
Identity=unix-user:*
Action=org.freedesktop.color-manager.create-device;org.freedesktop.color-manager.create-profile;org.freedesktop.color-manager.delete-device;org.freedesktop.color-manager.delete-profile;org.freedesktop.color-manager.modify-device;org.freedesktop.color-manager.modify-profile
ResultAny=no
ResultInactive=no
ResultActive=yes


ubuntu server 데스크탑 환경 및 한글화

한글화를 위해 우선 로케일 설정
sudo apt install language-pack-ko
sudo locale-gen ko_KR.UTF-8

아래명령에서 ko_KR.UTF-8 설치후 선택
sudo dpkg-reconfigure locales

기본 명령 및 메시지까지 한글로 나오게 합
sudo update-locale LANG=ko_KR.UTF-8 LC_MESSAGES=ko_KR.UTF-8

또는 
vi /etc/default/locale
LANG="ko_KR.UTF-8"
LC_MESSAGES=ko_KR.UTF-8
LANGUAGE="ko:en"
LC_NUMERIC="ko_KR.UTF-8"
LC_TIME="ko_KR.UTF-8"
LC_MONETARY="ko_KR.UTF-8"
LC_PAPER="ko_KR.UTF-8"
LC_IDENTIFICATION="ko_KR.UTF-8"
LC_NAME="ko_KR.UTF-8"
LC_ADDRESS="ko_KR.UTF-8"
LC_TELEPHONE="ko_KR.UTF-8"
LC_MEASUREMENT="ko_KR.UTF-8"


이후 데스크탑 패키지 설치
sudo apt install ubuntu-desktop
sudo apt install ubuntu-gnome-desktop

데스크탑 로그온 후 부족한 한글 메시지 관련 패키지 추가 설치

2020년 3월 13일 금요일

vmware 에 guest 로 설치된 mac OS 해상도 조절

vmware workstation 이나 esxi 에 guest 로 mac OS를 설치 후 해상도 조절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vmware tools 를 설치하고 나서도 되지 않는데요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값을 수정후 재부팅 하면 해상도 조절이 자유롭게 됩니다.

 sudo defaults write /Library/Preferences/com.apple.windowserver.plist DisplayResolutionEnabled -bool false

com.apple.windowserver.plist 파일에 편집기로 해당값인 DisplayResolutionEnabled 값을 true => false 로도 수정가능하나
바이너리 타입이므로 텍스트 편집기론 수정 불가능합니다.

plist 전용 편집기도 있긴하지만 대부분 유료로 팔고 있어서 위와 같이 명령어로 설정하면 됩니다.

2019년 11월 17일 일요일

more locale2 adb 로 권한 주기

Show how to use 'pm' command 1. Enable USB debug mode 2. Connect to your PC and type below command. > adb shell pm grant jp.co.c_lis.ccl.morelocale android.permission.CHANGE_CONFIGURATION 3. Retry changing locale

2019년 11월 9일 토요일

adb 로 twrp 리커버리 쉽게 들어가기

샤오미 미패드2 의 경우에 전원키+볼륨하키 조합으로 리커버리 진입이 잘 안된다. 잘 될때가 없었던것 같다. 이럴때 개발자모드로 만든뒤에 USB 디버깅을 허용한다음에 adb를 이용하여 손쉽게 들어갈수 있다. adb reboot recovery

2019년 7월 12일 금요일

OEM PC에서 Windows Pro 버전

OEM PC나 노트북에 Windows10 Home 이 내장된 경우엔 아무리 Pro 로 설치를 하려고 해도 Pro 버전 선택이 되질 않습니다.

설치 USB 스틱에 /sources 디렉토리에 ei.cfg 파일을 만들어 넣으면 됩니다.

ei.cfg 파일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텍스트에디터로 위에 내용을 ei.cfg 로 저장해서 /sources 디렉토리에 넣으시면 됩니다. 

2019년 6월 29일 토요일

VMware ESXi 에서 Realtek Driver 추가

Intel NUC 6세대에 ESXi 를 올리고 싶었으나
VMware ESXi 에는 Realtek 같은 저가 이더넷 카드는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더군요.

Intel NUC 6세대에의 유선 이더넷 카드는 RTL8111HN 칩셋으로서 ESXi 에서 지원하지 않습니다.

설치중 마지막에 "No Network Adapters" 메시지 이후에 설치가 진행 되지 않습니다.

폭풍 구글 검색끝에 아래와 같은 사이트에서 서드파티 ESXi Realtek 드라이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VMWare 이미지에 이 드라이버를 넣기가 조금 쉽지는 않습니다.

아래와 같은 순서로 가능합니다.


1. Realtek ESXi 드라이버 다운받기
우선 아래의 Realtek 드라이버는 URL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https://vibsdepot.v-front.de/wiki/index.php/Net55-r8168
지원되는 Realtek 칩셋은 위에 URL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Realtek RTL8111B / RTL8168B / RTL8111/RTL8168 / RTL8111C / RTL8111CP / RTL8111D(L) / RTL8168C / RTL8111DP / RTL8111E / RTL8168E / RTL8111F / RTL8411 / RTL8111G / RTL8111GUS / RTL8411B(N) / RTL8118AS / D-Link DGE-528T)

드라이버파일인 vib File 을 적당한 작업 폴더에 다운받습니다.
http://vibsdepot.v-front.de/depot/RTL/net55-r8168/net55-r8168-8.045a-napi.x86_64.vib

저는 작업폴더를 D:\esxi 폴더로 했습니다.

2. 커스텀이미지를 만들어주는 통합 파워쉘 스크립트 다운받기

위에 vid  형태의 드라이버를 VMware ESXi iso 이미지를 통합시켜주는 파워쉘 스크립트가 필요하며 이 스크립도 같은 작업 폴더에 다운로드 합니다.

https://www.v-front.de/p/esxi-customizer-ps.html

ESXi-Customizer-PS-v2.6.0.ps1 이파일을 드라이버와 같은 작업 디렉토리에 다운로드 합니다.

3. 커스텀 파워쉘 스크립트의 의존성 패키지 다운받기
커스텀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ESXi-Customizer-PS-v2.6.0.ps1 파워쉘 스크립트는 많은 패키지 의존성이 있습니다. 의존성이 해결되어야 실행이 됩니다.

파워쉘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파워쉘에서 프롬포트에서 아래 명령어로 커스텀 스크립트가 의존하는 패키지를 다운로드 합니다.
PS D:\esxi> Install-Module -Name VMware.VimAutomation.Core -AllowClobber
PS D:\esxi> Install-Module -Name VMware.ImageBuilder  -AllowClobber

4. 드라이버가 포함된 커스텀 이미지 만들기

관리자 권한 파워쉘 프롬포트에 커스텀 이미지를 만들기위해서 커스텀 스크립트 ESXi-Customizer-PS-v2.6.0.ps1 를 실행합니다. 

-v67, -v65 등의 옵션은 ESXi 이미지 만들 버전을 의미하고 최신 버전을 온라인 다운로드 받아서 만듭니다.
미리 받아둔 오프라인 depot 형태의 zip 파일이 있다면 -izip 옵션과 depot 파일 경로를 주면 됩니다.

아래는 ESXi 의 67 버전을 온라인으로 다운로드 받아서 Realtek vid 파일 드라이버를 병합하여 커스텀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PS D:\esxi> ESXi-Customizer-PS-v2.6.0.ps1 -v67 -pkgDir D:\esxi\

보안 경고
신뢰하는 스크립트만 실행하십시오. 인터넷의 스크립트는 유용할 수 있지만 사용자 컴퓨터를 손상시킬 수도 있습니다.
스크립트를 신뢰하는 경우 Unblock-File cmdlet을 사용하면 이 경고 메시지 없이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D:\esxi\ESXi-Customizer-PS-v2.6.0.ps1을(를) 실행하시겠습니까?
[D] 실행 안 함(D)  [R] 한 번 실행(R)  [S] 일시 중단(S)  [?] 도움말 (기본값은 "D"): r

This is ESXi-Customizer-PS Version 2.6.0 (visit https://ESXi-Customizer-PS.v-front.de for more information!)
(Call with -help for instructions)

Logging to C:\Users\hexcode\AppData\Local\Temp\ESXi-Customizer-PS-12040.log ...

Running with PowerShell version 5.1 and VMware PowerCLI version 11.3.0.13964826

Connecting the VMware ESXi Online depot ... [OK]

Getting Imageprofiles, please wait ... [OK]

Using Imageprofile ESXi-6.7.0-20190604001-standard ...
(dated 06/20/2019 14:51:56, AcceptanceLevel: PartnerSupported,
Updates ESXi 6.7 Image Profile-ESXi-6.7.0-20190604001-standard)

Loading Offline bundles and VIB files from D:\esxi\ ...
   Loading D:\esxi\net55-r8168-8.045a-napi.x86_64.vib ... [OK]
      Add VIB net55-r8168 8.045a-napi [New AcceptanceLevel: CommunitySupported] [OK, added]

Exporting the Imageprofile to 'D:\esxi\ESXi-6.7.0-20190604001-standard-customized.iso'. Please be patient ...


All done.


작업폴더에 드라이버가 병합된 ESXi-6.7.0-20190604001-standard-customized.iso 파일이 생성되었으며  rufus 등으로 USB 인스톨러 를 만들고 설치하면 됩니다.

2018년 10월 7일 일요일

tvheadend 에서 muxes config 한방에 바꾸기

ubuntu 16.04 LTS 부턴 이더넷 이름이 eth0 방식이 아니고 enp3s0 방식이다

tvheadend 에서 muxes config 바꾸는일이 여간 짜증나는 일이 아니다.

sudo -s
su - hts
cd ~/.hts/tvheadend/input/iptv/networks/.../muxes/

$ find . -type f -exec sed -i 's/eth0/enp3s0/g' {} \;

또한 muxes 에 등록된 채널들이 압축되어잇는 경우가 있다.
이런경우 웹에서 한방에 바꾸면 된다
https://tvheadend.org/issues/4086

또한 예전 eth0 방식으로 ubuntu 를 돌릴려면

$ vi /etc/default/grub
GRUB_CMDLINE_LINUX_DEFAULT=""
to
GRUB_CMDLINE_LINUX_DEFAULT="net.ifnames=0 biosdevname=0"

$ sudo update-grub

그리고
/etc/network/interfaces 도 손봐야 한다 (dhcp 의 예제)
auto enp3s0
iface enp3s0 inet dhcp

to
auto eth0
iface eth0 inet dhcp

2018년 7월 8일 일요일

xiaomi mijia fan (샤오미 유선선풍기 2세대) 사용기

여름이네요, 집에 에어콘이 있지만 그래도 계속 에어콘을 켜고 살수는 없죠
집에 4~5만원대 유선 중소기업 선풍기가 2대나 있지만, 샤오미 유선 선풍기를 구매 하는 이유는 DC 모터이기 때문입니다.

잘 모르겠지만 동작중 웨이브 파형을 일으킬것 같은 AC 모터에 비해서 DC 모터가 전자파도 없을 것 같은 느낌이 들고 소음이 적을것 같은 느낌 (이건 아닐수도 있습니다. 전공이 전자공학인데 잘 모르겄네요 ㅋㅋ)

게다가 DC모터 특성상 100단계 미세속도 조절 및 자연풍 바람이 가능합니다.

밤에 잠이 들면서 AC모터의 중소기업 선풍기 소리의 덜덜덜 거리는 소리로 잠을 깨면 안되니 조용한 DC 모터 선풍기를 알아보던중 명품은 발뮤다 제품은 가격이 40~50만원대 입니다. 그냥 에어콘을 켜는게 나을듯 ^^

그런데 샤오미 유선 선풍기는 같은 성능을 6~7만원대 직구 할 수 있습니다.
샤오미 무선 방식은 14~15만대 이지만 충전해야되고 귀찮네요

시작하기 전에 장단점을 정리해 봅니다.

장점
- 조용한 DC 모터
- 저전력
- 100단계 속도 조절
- Mi Home 앱과 연동으로 스마트폰 앱으로 제어가능
- 30/60/90/120 각도 회전 조절
- 미세한 타이머 기능 : 최대 8시간, 중소기업제품 기계식 타이머는 태엽풀리는 따따따 미세한 소리가 나며 최대 100~120분 이예요
- 자연풍 기능
- 저렴한 가격 6~7만원대 직구
- 음성인식 (중국어만 가능)
- 준수한 디자인 : 디자인은 호불호가 갈리지만 전 제 아내가 이쁘다고 하면 세상에서 제일 이쁜겁니다.  일단 이쁘다고 합니다.
- 저발열 : 오래 안틀어봤지만 기존 AC모터 대비 모터헤드가 뜨거워지지 않습니다. 기존 선풍기는 모터헤드가 뜨거워지면 뜨거운 바람이 부는 단점이 있어요
- 부드러운 목 조절 : 구형선풍기는 방향을 돌리면 딱딱딱 소리 나죠. 요즘 제 목에서도 나는데 부드럽게 돌아갑니다.

단점
- AS 문제 : 어짜피 중소기업 5만원짜리도 AS 잘 안되므로 고장나면 버리는것으로
- 중국어 설명서 : 선풍기엔 그닥 설명서가 필요없습니다. 중소기업 건 들어있지도 않아요
- 중국어만 가능한 음성인식 : 곧 제가 google home 으로 음성인식 연동을 연구할 예정
- 초기 조립필요 : 공대출신들은 간단하지만 기계치들은 어려울 수도 있겠네요 (요즘 택배로 구매하는 제품의 선풍기는 바닥과 봉 정도는 조립필요해요 )
- 조작버턴이 헤드에 있음 : 기존 선풍기에 익숙한 사람은 불만 일수 있는데 제가 찾은 이유는 자면서 선풍기는 발가락으로 끄고 켜는게 제맛인데 이런게 좀 불편하겠네요
- 높이 조절 : 레거시 선풍기는 목에 누르면 2단 높이조절이 되죠. 그런데 상하 각도 조절이 잘되므로 필요 없을것 같기도 합니다.
- 돼지코 필요: 직구할때 하나 넣어주네요. 11자 돼지코 불편하면 일반적인 8자 케이블이면 호환 됩니다.
- 최대 바람세기 : 일반 AC선풍기 최대 강풍보단 약합니다. 그런데 잘때는 강풍 쓸일이 별로 없어서 괜찮습니다. 머리 말리거나 이럴때 최대 강풍쓰시는 분들은 좀 실망할 수 있어요
- 선풍기 망 프라스틱 재질 : 전 오히려 괜찮아 보이네요 촘촘해서 사이로 손다칠 염려도 없
습니다.

대부분 단점은 제 기준에선 모두 커버가 되므로 충분한 매리트가 있는 제품입니다.

바로 도착한 제품입니다.  아래와 같이 포장 되어있죠
구성품을 조심스레 꺼내면
조립전 매뉴얼을 한번 봅니다. 중국어네요. 영문이라도 하나 넣어주지 중국분들도 영어 잘하는데 실망입니다.
그림을 보고 조립을 해봅니다 먼저 헤드 봉부터 장착 봉을 장착하고 동봉된 나사로 조이면 됩니다.
망 고정전 패키지 분해하는 방법이 매뉴얼 그림이 잘 나와 있어요

뒷 망 고정이예요 자세히 보면 화살표가 위입니다. 고정 나사로 손으로 돌려서 고정하면 됩니다. 뒷망 고정후 고정 나사로 조인 모습입니다.

날개를 넣고 날개를 고정하는 나사로 돌립니다. 날개 고정 나사는 회전시 풀리지 않도록 회전 역방향으로 되어 있습니다. (일반 선풍기도 마찬가지죠)

앞 망을 조립하고 앞망 위쪽에 방향 눈금이 있습니다 눈금을 보고 고정 쪽으로 1센치 정도 살짝 비튼후 동봉된 조그만 나사로 밑에 조여주면 조립이 완성 됩니다.
완성된 모습입니다. 이쁩니다.

헤드 뒤에 조작 버턴이고 맨뒤에 있는 버턴이 전원버턴이예요 1~3초정도 눌러야돼요

Mi Home 앱과 선풍기를 집안 공유기의 Wifi 연동

기본 헤드에 붙어있는 조작버턴으로 모든 선풍기 기능이 제어되지만 좀더 세밀한 제어를 하려면 앱을 깔면 됩니다.

스마트폰 앱으로 선풍기를 제어하려면 먼저 선풍기를 집안 공유기의 Wifi 로 연결해야 합니다. (곧 선풍기가 해킹 당하면 DDoS 공격의 원천 소스로 활용 할수도 있겠네요 ^^ 나중에 DDoS 공격근원지가 선풍기/다리미/에이콘 이런 시대 옵니다.)

앱스토어 에서 Mi Home 앱을 다운로드 합니다.

리전은 전 중국쪽으로 했어요.

직구제품이라 제품 추가할때 글로벌로 안풀린 제품은 앱 제품 추가 메뉴에 안나올때가 있어서 전 중국 리전으로 합니다.
(예전에 샤오미 CCTV 를 중국 출장중에 샤오미 매장에서 직접 구매해왔는데 중국 전용이라 앱에서도 나오지도 않고 한국에서 동작하지 않아 중국 리전으로 돌리고 펌웨어 해킹했습니다. 펌웨어 해킹 매우 힘들었습니다. 예전 엘지전자 스마트 NAS 펌웨어 해킹하는 방법을 올렸을때 내려 달라고 엘지전자에서 연락왔었는데 CCTV 샤오미 국내 정식수입 업체에선 아직 연락 안오네요^^  http://comhack.blogspot.com/2017/12/yi-cctv-17cn.html 참조)

다행히샤오미 유선 선풍기는 중국지역이 아니여도 동작되므로 안심해도 됩니다.
중국리전으로 해도 중국어가 보이긴 하지만 웬만하면 스마트폰 기본 언어 설정으로 되는 제품들이 요즘 샤오미 제품들이 많습니다.

Mi Home 앱을 제대로 쓸려면 샤오미 회원 가입을 해야 할껍니다.

Mi Home 앱에서 + 버턴을 눌러  새기기 제품 추가를 합니다.

환경 가전쪽으로 가면 선풍기 부분에 Mi 스탠드형 선풍기를 선택하면 됩니다.

선택하면 선풍기 전원을 넣고 아래와 지시사항이 나옵니다.

그런데 구체적으로 어딜 눌러야 할지 모르므로 제가 표시해놨습니다.

3초정도 두개 버턴을 눌러주면 Wifi 연결 대기 상태가 되면 제일 밑에 LED가 깜빡깜빡 합니다. 이때 앱에서 선풍기 찾기 하시면 됩니다.


이때 선풍기를 Mi Home 앱에서 잘 찾았으면  Wifi 비밀번호를 넣으라고 합니다.
Wifi 는 5G는 안되고 2.4G 만됩니다.
Wifi 비번을 넣고 연결이되면 아래와 같이 제어를 할수 있습니다.


앱 조작은 별다른 어려운게 없으므로 취향에 맞게 쓰시면 됩니다.
저는 바탕화면으로 빼놔서 잘쓰고 있습니다. 와이프 폰에도 연동시켜주고 애들 폰에도 연동 시켜줬습니다.

다음엔 google home 으로 음성명령으로 연동하는거 시도해보겠습니다. 바로 안되는것으로알고 있어서 많은 삽질이 예상됩니다.

2018년 6월 3일 일요일

Raspberry Pi KODI 와 harmony 연결

OpenELEC 나 Libreelc 의 KODI 를 사용하시는 분은 아래 설정은 필요 없습니다.
KODI setting 에서 bluetooth 를 on 하고 setting bluetooth 메뉴에서 Harmony Keyboard 를 페어링 하면 됩니다.

아래 Libreelc 에서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 참조 
https://www.hifiberry.com/build/guides/connecting-an-amazon-echo-via-bluetooth-and-libreelec/

라즈비안을 이용하여 직접 커맨드 콘솔로 연결하실 경우 아래를 보시면 됩니다.

라즈베리파이2 모델의 경우
블루투스 동글이가 필요합니다. 5천원정도 할꺼예요

블루투스 동글이를 usb 포트에 꼽으면 아래와 같이 인식되었는지 알수 있습니다.
root 권한이 필요합니다.
pi@raspberrypi:~ $ sudo -s
root@raspberrypi:/home/pi# 

root@raspberrypi:/home/pi# lsusb
Bus 001 Device 004: ID 13fd:3940 Initio Corporation
Bus 001 Device 005: ID 0a12:0001 Cambridge Silicon Radio, Ltd Bluetooth Dongle (HCI mode)
Bus 001 Device 003: ID 0424:ec00 Standard Microsystems Corp. SMSC9512/9514 Fast Ethernet Adapter
Bus 001 Device 002: ID 0424:9514 Standard Microsystems Corp. SMC9514 Hub
Bus 001 Device 001: ID 1d6b:0002 Linux Foundation 2.0 root hub



"Cambridge Silicon Radio, Ltd Bluetooth Dongle" 이 USB 에 잘 인식 된것을 알수 있습니다. 

아래부터는 라즈베리파이2와3이 같습니다. 라즈베리3 부터는 블루투스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hcitool 명령으로 주변에 연결가능한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찾아봅니다.

root@raspberrypi:/home/pi# hcitool scan
Scanning ...
       C8:DB:26:03:DE:ED       Harmony Keyboard
       8C:C8:CD:84:6B:21       TVBluetooth

여기서 디바이스들이 안나와도 상관없습니다. 
bluetoothctl 명령어로도 재 스캔 가능합니다.

root@raspberrypi:/home/pi# bluetoothctl
[NEW] Controller B8:27:EB:BC:AD:FC raspberrypi [default]
[bluetooth]# 

블루투스 명령 콘솔로 들어왔으면 help 를 쳐서 어떠한 명령들이 지원되는지 한번 봅니다.

[bluetooth]# help
Available commands:
  list                       List available controllers
  show [ctrl]                Controller information
  select               Select default controller
  devices                    List available devices
  paired-devices             List paired devices
  power              Set controller power
  pairable           Set controller pairable mode
  discoverable       Set controller discoverable mode
  agent   Enable/disable agent with given capability
  default-agent              Set agent as the default one
  advertise     Enable/disable advertising with given type
  set-advertise-uuids [uuid1 uuid2 ...] Set advertise uuids
  set-advertise-service [uuid][data=[xx xx ...] Set advertise service data
  set-advertise-manufacturer [id][data=[xx xx ...] Set advertise manufacturer data
  set-advertise-tx-power Enable/disable TX power to be advertised
  set-scan-filter-uuids [uuid1 uuid2 ...] Set scan filter uuids
  set-scan-filter-rssi [rssi] Set scan filter rssi, and clears pathloss
  set-scan-filter-pathloss [pathloss] Set scan filter pathloss, and clears rssi
  set-scan-filter-transport [transport] Set scan filter transport
  set-scan-filter-clear      Clears discovery filter.
  scan               Scan for devices
  info [dev]                 Device information
  pair [dev]                 Pair with device
  trust [dev]                Trust device
  untrust [dev]              Untrust device
  block [dev]                Block device
  unblock [dev]              Unblock device
  remove                Remove device
  connect               Connect device
  disconnect [dev]           Disconnect device
  list-attributes [dev]      List attributes
  set-alias           Set device alias
  select-attribute Select attribute
  attribute-info [attribute] Select attribute
  read                       Read attribute value
  write    Write attribute value
  notify             Notify attribute value
  register-profile Register profile to connect
  unregister-profile         Unregister profile
  version                    Display version
  quit                       Quit program


먼저 블루투스 power 를 on 하고 scan 을 해봅니다.
harmony 모바일 앱 에선 
Devices > Edit Devices > +Device > ENTERTAINMENT DEVICE :
Manufacturer Name : Apple
Model Number : KODI

이렇게해서 미리 추가합니다.

추가 후 추가된 Devices 에서 Apple Media Player 로 가서 아무키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페어링 하겠냐고 나옵니다.

이럴때 scan 을하면 목록이 나옵니다.

[bluetooth]# power on
Changing power on succeeded
[bluetooth]# scan on
Discovery started
[CHG] Controller B8:27:EB:BC:AD:FC Discovering: yes
[NEW] Device 88:0F:10:91:7B:FA MI_SCALE
[NEW] Device 8C:C8:CD:84:6B:21 TVBluetooth
[NEW] Device 00:9E:C8:B1:DE:22 MIBOX3
[bluetooth]# 

아까 hcitool scan 에서 나오지 않는 장치들을 볼수 있습니다.

[bluetooth]# scan on
Discovery started
[CHG] Controller B8:27:EB:BC:AD:FC Discovering: yes
[CHG] Device 88:0F:10:91:7B:FA RSSI: -82
[CHG] Device 00:9E:C8:B1:DE:22 RSSI: -94
[CHG] Device 8C:C8:CD:84:6B:21 RSSI: -99
[CHG] Device 8C:C8:CD:84:6B:21 TxPower: 0
[NEW] Device C8:DB:26:03:DE:ED Harmony Keyboard
[NEW] Device 88:0F:10:91:7B:FA MI_SCALE
[NEW] Device 00:9E:C8:B1:DE:22 MIBOX3

하모니 블루투스 HW주소를 통해 페어링을 합니다.
[bluetooth]# pair C8:DB:26:03:DE:ED 
Attempting to pair with C8:DB:26:03:DE:ED
[CHG] Device C8:DB:26:03:DE:ED Connected: yes
[CHG] Device C8:DB:26:03:DE:ED UUIDs: 00001124-0000-1000-8000-00805f9b34fb
[CHG] Device C8:DB:26:03:DE:ED UUIDs: 00001801-0000-1000-8000-00805f9b34fb
[CHG] Device C8:DB:26:03:DE:ED UUIDs: 830a5548-5c66-23bd-0949-c0040000227e
[CHG] Device C8:DB:26:03:DE:ED ServicesResolved: yes
[CHG] Device C8:DB:26:03:DE:ED Paired: yes
Pairing successful

페어링후 연결을 합니다.
[bluetooth]# connect C8:DB:26:03:DE:ED 
Attempting to connect to C8:DB:26:03:DE:ED
[CHG] Device C8:DB:26:03:DE:ED Connected: yes
[CHG] Device C8:DB:26:03:DE:ED ServicesResolved: yes
Connection successful

라즈베리파이가 재 부팅후에도 지속 적인 연결을 위하면 trust 명령어로 신뢰관계를 구축합니다.
[Harmony Keyboard]# trust C8:DB:26:03:DE:ED 
[CHG] Device C8:DB:26:03:DE:ED Trusted: yes
Changing C8:DB:26:03:DE:ED trust succeeded

이제 Harmony 리모콘으로도 KODI를 제어 가능합니다.

만약 하모니 모바일 앱에서 액티비티를 만들때 다시 페어링을 하라고 하면 페어링과 연결과정을 다시해줍니다.
아래와 같은 다시 페어링 하라는 메시지가 나올수 있음

[bluetooth]# pair C8:DB:26:03:DE:ED
Attempting to pair with C8:DB:26:03:DE:ED
Failed to pair: org.bluez.Error.AlreadyExists
[bluetooth]# connect C8:DB:26:03:DE:ED
Attempting to connect to C8:DB:26:03:DE:ED
[CHG] Device C8:DB:26:03:DE:ED Connected: yes
Connection successful
[CHG] Device C8:DB:26:03:DE:ED ServicesResolved: yes

재 페어링과 재 연결을 해주면 하모니앱에서 아래와 같이 연결되었다고 나옵니다.